책소개
삶에 대하여 뜻한 바가 있는 이라면 숱한 고뇌와 슬픔, 기쁨을 맛보기 마련이다. 돌이켜 보면 어리석음과 실수로 점철된 나의 인생도 그 번뇌가 헤아릴 수 없이 많다. 하지만 달마를 그리면서 모든 이들의 마음에 복을 전하여 주는 것이 달마의 라는 것을 알았습니다.
내가 붓을 잡고 대사를 그리며 하나의 소망이 있었다면 작게는 나 자신의 번뇌를 덜어내고 그 어리석음을 깨우치자는 것이었고, 더 나아가서는 나와 같은 인생살이의 고뇌와 아픔을 경험함 모든 이들과 번뇌의 시름을 잊어보고자 하는 것이었다. 그리하여 “달마가 복을 전한다는 것을 알았다.” 이리하여 달마도를 완성하게 된 것이다.
『달마가 복을 전하러 온다』는 보리달마의 수행과 많은 일화에 근거한 글과 문헌자료, 달마대사를 칭송한 시를 그림에 담은 것에 불과하다.
그러나 그 속에는 인생의 의미와 삶의 목적을 깨닫고 궁극적 참 삶의 길이 무엇인가를 생각게 하는 문답이 들어 있다.
번뇌와 슬픔, 기쁨 또는 수 많은 절망을 안고 사는 평범한 우리에게 한 줄기 빛과 같은 진리를 몸소 보여주신 달마 대사, 그의 지공무사(至公無私) 한 삶의 길이 무엇인가를 생각게 하는 문답이 들어 있다.
목차
서두 -------------------------------7
1. 개울물 소리 --------------- --------13
2. 오늘은 청명------------------------15
3. 귀일(歸一)-------------------------16
4. 높고 높아 잡을곳 없고 ---------------17
5. 구름의 짝 있나니 -------------------17
6. 화살이 허공을 꿰뚫고-----------------24
7. 외마리 산새소리 --------------------25
8. 방우할뢰(棒雨喝雷)-------------------27
9. 세존의 밀어(密語)--------------------28
10. 오도송(悟道頌) ---------------------29
11. 확연무성(廓然無聖) ------------------30
12. 신통묘용(神通妙用)-------------------32
13. 산집 고요한밤 ---------------------34
14. 항해 십만리 ----------------------35
15. 조의(祖意)-------------------------36
16. 종지(宗旨)-------------------------37
17. 환향곡(還鄕曲)----------------------38
18. 물소리와 산빛 모두 내고향-------------40
19. 훌훌 떠나서------------------------41
20. 여여불(如如佛)----------------------43
21. 오이사에 가서-----------------------45
22. 확연무성(廓然無聖)--------------------46
23. 십만리 머나먼 곳에서-----------------47
24. 선악을 생각지 말라-------------------49
25. 불사선악(不思善惡)--------------------50
26. 운문삼구(雲門三句)--------------------51
27. 함께 건곤---------------------------52
28. 옛 소나무 아래서---------------------53
29. 반야심경(般若心經)--------------------54
30. 향곡을 보내며------------------------55
판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