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참다운 예술경영은 리더십이 전제되어야 한다!”
한국기록원 공식기록을 인증받은 지식경영 문화예술 CEO의 ‘글로벌시대 리더십 실천학’
문화예술의 저변과 수준은 그 나라의 국력을 가늠하는 척도가 된다. 사회가 안정되고 지속적으로 발전한다면 많은 국민들이 자연스레 문화예술을 더 많이, 다양하게 즐기기 때문이다. 세계를 놀라게 한 경제발전으로 어느덧 선진국 반열에 올라선 대한민국이지만 아직도 문화예술 부문에서는 비슷한 위치의 나라들에 비해 많이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국가 차원의 체계적인 지원이나 진보적인 인프라 구축, 사회의식의 개선 등이 여전히 시급하지만 더불어 전문경영인이 턱없이 부족하다는 사실 또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제는 우리 문화예술계 전반을 전문가적인 입장에서 경영하고 이끌어갈 뛰어난 인재의 육성이 필요한 시점이다.
『문화예술 리더를 꿈꿔라』는 다양한 조직, 지역, 영역을 거치면서 폭넓은 경험과 이론을 연마하여 글로벌 경쟁마인드를 체득한 이인권 한국소리문화의전당 대표의 ‘문화예술 경영서’이다. 2013년 10월 한국기록원으로부터 우수 모범 예술 거버넌스 지식경영을 통한 공공 문화예술기관의 단일 최장 경영자로 대한민국 최초 공식기록을 인증받기도 한 저자의 모든 노하우가 담긴 만큼 이 책은 알찬 정보와 혜안으로 가득하다. 대한민국 문화예술계를 선도할 경영인의 발굴과 육성을 위해 온갖 정성을 쏟은 저자의 열정이 책 곳곳에서 빛을 발하고 있다.
목차
일러두기 … 5
이 책을 쓰면서 … 8
프롤로그 … 12
01 문화예술 환경의 특성과 실제
문화예술 환경을 주목하라 … 22
문화예술의 가치 달라져 * 문화 분권이 시대조류다 * 문화 기반시설 날로 늘어 * 마켓에서 예술 상품을 산다 * 예술을 창조하려면 돈이 중요
문화예술 공간 운영은 어떻게? … 36
문화예술은 단연 공공성이다 * 문화예술 공간 운영은 다양해 * 문화예술을 결정짓는 핵심가치
문화예술 기획력을 장악하라 … 49
예술작품은 무대 기획이 생명 * 문화예술 기획의 정통 레시피 * 공연예술 기획의 주역들은? * 예술은 관객이 있어 존재한다 * 예술프로그램의 대상은 뭘까?
02 문화예술의 자율적인 존재양식
예술은 역시 독보적인 존재다 … 64
정부가 지원하되 간섭을 말아야 * 문화선진국의 문화예술 자율성
문화예술 공간의 자율성을 찾아야 … 74
관과 지역사회로부터 자유를! * 민간 전문가에게 경영을 맡겨라 * 객관적 전문평가가 중요하다 * 관료사회를 바르게 이해하자 * 갈등 조정으로 공감대 만들어야
문화예술 공간 운영환경은 독특하다 … 88
운영권 독점에서 분산의 시대로 * 운영권 분산은 이점이 많아 * 운영권 분산의 다양한 유형들 * 마이크로매니지먼트 vs 멘토링 * 문화예술시장의 경쟁과 협력 * 이제는 ‘경영’을 넘어 ‘거버넌스’다 * 문화예술 전문가는 영어가 필수적이다
03 문화예술 공간 전문경영의 비결
문화예술 기획 시 고려할 요소들 … 114
문화예술 상품은 성격이 다르다 * 문화예술 무대 기획도 진화한다 * 미국 매니지먼트 이렇게 발전했다 * 한국 예술 기획사들도 변하고 있다 * 문화예술 공간 전문인력은 지식근로자 * 공연예술 기획은 유기체적 비즈니스다 * 공연예술 기획 목적사업의 복합성 * 공연예술 기획의 프로모션과 마케팅 * 네트워킹과 구전 마케팅이 최고다 * 온라인 마케팅의 능률성과 효과성 * 신진세대 마니아 관객층을 구축하라 * 지식정보시대 언론 감각을 키워라
운영관리 원칙을 철저하게 파악하라 … 150
‘블루오션’보다 ‘퍼플오션’ 전략을 * 이미지 포지셔닝이 곧 경쟁력이다 * 의사결정 시 ‘통합’의 미덕을 발휘해야 * 기계적 한계 조직 vs 유기적 발전 조직 * 문화예술 인력의 효율적 관리가 중요 * 문화예술 인력의 전문역량을 구분하라 * 전문인력들은 4Q를 갖추어야 한다 * 지식정보 마인드를 갈고 닦아라 * 문화예술 공간 경영은 상식으로 통한다 * 전문가 네트워킹에 공들여라 * 조직의 ‘정치적 갈등’을 해소하라
04 문화예술의 선진형 경영 리더십
리더십 커뮤니케이션의 ‘라포르’ … 202
과연 예술경영의 스페셜리스트는? * 리더십 매니지먼트로 승부해야 * 전문인력은 리더십 파워가 핵심 * 문화예술 전문가의 바람직한 자질 * 리더십과 학습하는 조직문화의 상관성 * 문화예술 리더십과 팔로워십의 관계
이젠 선진형 예술경영자여야 한다 … 228
가치관리와 성과경영에 집중하라 * 리더십의 다양성과 상황관리 지휘력 * 문화예술의 리더십과 헤드십은 달라 * 문화예술 전문가가 나아가야 할 방향 * 문화예술 경영자는 가치철학이 뚜렷해야
05 문화예술 경영의 석세스 패러다임
문화예술 경영자가 되는 실천원칙 … 262
성공하는 사람들은 무언가 다르다 … 265
‘출세’보다 ‘성공’하는 전문가가 되라 … 272
에필로그 … 275
추천문헌 … 279
출간후기 … 2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