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저자가 기록하고 설명하는 <베트남 1969>는 1968년 9월 12일부터 1970년 5월 18일까지 약 21개월 간의 개인적 참전이 중심이다.
이 글을 정리하는 데는 군사어학학교에서 배우고 필기했던 노트들과 참전기간 내내 썼던 일기들이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며, 수집한 포스트카드와 사진들이 크게 도움이 되었다.
베트남전쟁이 끝난 후 한 세대가 지났지만, 이 글을 읽는 모든 독자가 재미있게 읽어줄 것을 기대한다.
목차
머릿글
한국군 베트남전 참전의 일반적 이해
1. 참전개요
2. 참전 당시의 국내 여건과 참전의 영향
3. 참전의 목표와 결과 분석
4. 주월 한국군 귀국보고
<월남과 베트남: 베트남전의 포괄적 이해>
1. 월남()과 베트남(Vietnam)의 표기에 관한 언어적 고찰
2. 사돈의 나라가 된 베트남
3. 파월장병의 가슴속에 남아 있는 월남망명정부의 환상
4. 한반도 6.25전쟁과 베트남전쟁의 시발점에 일본이 있다
5. 디엔비엔푸전투와 제네바협정: 미국이 얻은 뜨거운 감자
6. 한국 근대사의 한 페이지를 기록한 월남전 파병
7. 한국군 파월 당시 찬반론의 회상
8. 브라운각서(Brown Memorandum)와 한국군전투병 증파
9. 6.25한국전쟁과 베트남전 비교를 통한 베트남전의 이해
10. 미국은 왜 베트남전을 포기하였나
11. 통킹만 사건(Gulf of Tonkin Incident)
12. 1968 테트(구정)공세와 파월한국군전사() 제4권
13. 패망으로 달려간 월남
14. 베트콩, 그들은 누구이며 그들의 주장은 무엇이었나
15. 보이지 않은 베트콩 그들은 어디에나 있었다
16. 베트남전을 주도한 북베트남 지도자들
17. 파리평화협정과 베트남공화국(월남)의 투항
18. 파리평화협정: 베트남전의 승자와 패자
19. 한국군 월남전 참전의 효과
20. 한국군 베트남전 참전의 승패를 논함
21.베트남전을 통하여 본 전쟁과 평화
22. 전쟁의 상처: 고엽제(orange agent) 후유(의)증
23. 전쟁의 상처: 라이 따이한
24. 월남전 파병 한국군이 용병?
25. 한국군 월남전 파병이 희생은 크고 대가는 미흡하다
26. 월남전 한국군 용맹했나 잔인했나?
27. 전쟁의 상처: 민간인 피해와 월남전 한국군 민간인 살해에 관한 오해
28. 시민단체가 주장하는 민간인학살 의혹사건과 진실규명
29. 한국군 월남전참전의 객관적 평가
30. 그리운 천사 Betty Brady!
31. 나의 전쟁관: 나의 기록
32. 영어로 만든 참전 팜플릿(김풍 제공)
33. K-ration for the Korean soldiers during the Vietnam War
<월남전 참전 한국군 민간인 살해 주장에 대한 반론>
<퐁니-퐁넛과 하미마을 사건 해부>
1. 파월 한국군 관련 민간인 피해문제에 대하여
2. 괴룡작전과 퐁니-퐁넛
3. 사이밍턴 소위원회에서 거론된 3개의 사건과 내용
4. 결론
<하미마을 사건 분석>
1. 2월 22일 파월한국군 전사기록 요약
2. 상황분석
3. 하미마을 위령비
4. 결론
<구수정의 아킬레스건>
1) 빈안 학살은 베트남민족 동족상잔 비극의 현장
2) 구수정 신드롬
3) 고자이벽화에 나타난 베트남민족 잔혹사
4) 구수정과 베트콩 런의 야합
5) 구수정과 응우엔 떤 런이 한국을 우롱하다
6) 구수정이 만난 세 사람의 베트콩
7) 구수정이 만난 린선사 스님들
8) 고자이마을 50주년 위령제
9) 구수정, 윤미향과 한겨레신문: 무지몽매의 극치
10) 날조된 성폭행피해자
11) 구수정의 탐욕으로 빚어진 베트남 피에타
12) 구수정의 주간문춘()
<[미안해요 베트남] 작가 이규봉>
<양민학살 관련 한국군 지휘관 처벌에 관한 실예>
<리엠 부이, 베트남계 미국인 태권도 스승을 찾아 한국에 오다>
<베트남전 참전 사진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