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적 사유와 인식 정치철학에서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 대립
정치철학의 가장 근본적인 대립축인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의 긴장 관계를 현대적 맥락에서 재조명하는 본서는 로크의 사회계약론부터 현대의 메타버스 시대까지 이어지는 철학적 논쟁의 역사적 전개 과정을 심도 있게 다룬다. 특히 프랑스 혁명기의 루소, 현대 정의론의 대표주자인 롤스와 샌델, 시장경제의 아버지 아담 스미스 등 주요 사상가들의 핵심 이론을 실제 역사적 사건과 연결하여 분석함으로써 추상적 철학 개념을 구체적 현실의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코로나19 팬데믹, 환경정의, 인공지능 윤리, 세대 갈등 등 동시대의 첨예한 사회적 쟁점들을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라는 정치철학의 렌즈를 통해 해석하면서, 개인의 자유와 권리가 공동체의 가치 및 연대와 어떻게 조화를 이룰 수 있는지 탐구한다. 특히 퀘벡의 문화정체성 투쟁, 뉴욕의 도시계획 논쟁, 일본의 세대간 갈등 등 구체적 사례 연구를 통해 철학적 개념의 현실적 함의를 명확히 보여준다.
공화주의라는 제3의 길의 가능성을 모색하면서, 필립 페팃과 퀜틴 스키너의 현대 공화주의 이론이 제시하는 자유와 공동체의 새로운 조화 방안을 검토한다. 또한 메타버스와 같은 미래 기술이 가져올 새로운 형태의 공동체와 개인의 관계를 전망하면서, 전통적인 정치철학의 문제의식이 미래사회에서 어떻게 변용되고 적용될 수 있는지 심층적으로 분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