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미리보기
사라진 근대사 100장면 ② 반동의 시대 : 진실을 밝혀내는 박종인의 역사 전쟁
- 저자
- 박종인 저
- 출판사
- 와이즈맵
- 출판일
- 2024-11-15
- 등록일
- 2024-12-24
- 파일포맷
- EPUB
- 파일크기
- 52MB
- 공급사
- YES24
- 지원기기
-
PC
PHONE
TABLET
웹뷰어
프로그램 수동설치
뷰어프로그램 설치 안내
책소개
반전과 충격으로 가득한 100가지 역사 퍼즐
1889년 5월 6일 근대를 상징하는 에펠탑이 유럽에 우뚝 서던 날, 조선에서는 하찮은 공무원 하나가 고부군수로 발령받았다. 조선 최대 민란 ‘동학’의 원인, 조병갑이다. 에펠탑도 세상을 바꿨고, 사람 하나도 세상을 바꿔버렸다. 가난한 프랑스 지식인 드니 디드로가 ≪백과전서≫ 편집장에 선임되기 1년 전, 조선 국왕 ‘영조’는 신하들이 청나라에서 어렵게 구해온 망원경을 부숴버렸다. 감히 태양을 똑바로 쳐다보는 ‘아름답지 못한’ 도구라는 것이다. ‘백과전서파’는 유럽 계몽주의 시대를 열었고, 깨져버린 망원경은 조선에 빛은커녕 축축한 어둠을 가져다줬다. 온 세상이 부국과 강병을 위해 근대로 돌진하는 그 장엄한 19세기, 조선과 세계에서는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었을까? 뉴턴이 사과를 보고 만유인력을 깨달았을 때, 에디슨이 축음기를 발명했을 때 같은 시대의 조선은 무엇을 깨닫고 무엇을 발명했을까?
언젠가부터 역사는 미래로 나아가는 데 필요한 지도가 아닌, 개인의 이익을 위해 왜곡도 서슴지 않는 도구가 되었다. 역사가 존재하는 건 단지 자긍심을 위해서가 아니다. 과오와 실패 또한 잊어서는 안 될 우리 역사다. ≪사라진 근대사 100장면≫은 폭발하는 ‘지성’과 격렬한 ‘교류’로 전 세계가 요동치던 시기, 이 땅의 운명을 뒤바꾼 100장면을 담아냈다. 영정조 시대부터 해방과 건국까지, 100장면 모두 학교에서 배울 수 없는 ‘불편한’ 사실들이다. 누군가에 의해 ‘사라진’ 역사를 제대로 마주한 순간, 보이지 않던 것들이 보이기 시작한다.
저자소개
서울대학교에서 사회학, 뉴질랜드 UNITEC School of Design에서 현대사진학을 전공했다. 1992년 이래 2024년 현재 조선일보 기자다. 현재를 보는 눈과 미래에 대한 답은 역사 속에 있다고 믿는 언론인이다. 1960년대에 대한민국에서 태어나 1980년대에 대학교를 다녔다. 2023년까지 조선일보에 ‘박종인의 땅의 역사’를 연재했다. TV조선에 같은 제목의 역사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그 공로로 2020년 ‘서재필 언론문화상’을 받았다. 2024년에는 ‘박종인의 ‘흔적’’을 쓰고 있다. 은폐되고 왜곡된 역사를 바로 기록하는 인문 시리즈다. 서울대학교에서 사회학, 뉴질랜드 UNITEC School of Design에서 현대사진학을 전공했다.
지은 책으로 『광화문 괴담』, 『매국노 고종』, 『대한민국 징비록』, 『땅의 역사』(1-7권), 『기자의 글쓰기』, 『여행의 품격』, 『한국의 고집쟁이들』, 『행복한 고집쟁이들』, 『골목길 근대사』(공저), 『세상의 길 위에서 내가 만난 노자』, 『나마스떼』, 『우리는 천사의 눈물을 보았다』(공저), 『다섯 가지 지독한 여행 이야기』가 있다. 『뉴욕 에스키모, 미닉의 일생』과 『마하바라타』(1-4권)를 옮겼다.
목차
② 반동의 시대
서문_아름다운 가짜와 신성한 팩트
4장 개혁 시대(동학과 갑오개혁) 1889~1894
장면51. 1889년 파리 에펠탑과 조병갑의 선정비
장면52. 1894년 고부 농민, 조병갑의 만석보를 부수다
장면53. 1894년 두 번 죽은 역적 김옥균
장면54. 1894년 고종과 민씨, 외국군을 부르다
장면55. 1894년 습격당한 경복궁
장면56. 1894년 풍도의 포성과 청일전쟁
장면57. 1894년 비장했던 김홍집과 갑오개혁
장면58. 1894년 500년 만에 해방된 노예들
장면59. 1894년 환생한 백탑파와 근대인 네트워크
5장 반동의 시대 1894~1897
장면60. 1894년 보호국으로 전락하는 조선과 한 아이의 일생
장면61. 1894년 고종이 부여잡은 일본군
장면62. 1895년 기이한 독립, 시모노세키조약
장면63. 1895년 ‘모든 개혁을 취소한다’
장면64. 1895년 을미사변과 단발령 그리고 엄상궁
장면65. 1896년 나라를 버리고 사람을 버리다
장면66. 1896년 사대 본국을 바꾸다
장면67. 1896년 조선사람들, 근대로 들어가다
6장 제국 시대 1897~1910
장면68. 1897년 1인제국을 세우다
장면69. 1897년 벌거벗은 황제
장면70. 1898년 부활하는 참형과 단두대
장면71. 1898년 황제와 태후, 차르에게 충성편지를 쓰다
장면72. 1898년 완전히 꺼져버린 근대의 촛불
장면73. 1899년 갑자기 발견되는 전주이씨 왕실 시조묘
장면74. 1899년 다시 성리학 국가가 되다
장면75. 1899년 반근대 독재 체제의 탄생
장면76. 1902년 황제, 두 번째 궁궐을 짓다
장면77. 1902년 황제, 성리학 창시자 후손들 특채
장면78. 1902년 거지 나라 황제 즉위 40주년 파티
장면79. 1903년 고물 군함 입항하다
장면80. 1903년 황제, 차르에게 편지를 쓰다
장면81. 1904년 천황의 뇌물 30만 엔과 황제의 변심
장면82. 1905년 황제의 두 번째 수뢰
장면83. 1905년 을사오적, 황제를 꾸짖다
장면84. 1905년 이토 히로부미의 흰 수염
장면85. 1907년 헤이그밀사의 폭로, ‘학정’
장면86. 1907년 상투 튼 허수아비, 황제가 되다
장면87. 1907년 제국 황제, 천황으로부터 ‘목걸이’를 받다
장면88. 1908년 또 늘어나는 황제들
장면89. 1908년 들통나는 ‘선비정신’
장면90. 1909년 하얼빈의 총성
장면91. 1910년 여름, 물고기가 먼저 뛰어들었다
장면92. 1910년 망국과 환장하는 훈장 대파티
장면93. 1910년 황제 즉위파티 때문에 연기된 병합조약 공포
7장 식민과 해방 1910~1945
장면94. 1910년 조선왕실, 천황가로 들어가다
장면95. 1919년 전환하는 시대정신
장면96. 1940년 《훈민정음해례본》 발견과 한 친일파의 행적
장면97. 1941년 어느 전직 관료의 은밀한 종묘 배향
장면98. 1945년 도둑처럼 찾아온 해방
장면99. 1945년 사라지는 구체제의 그림자
장면100. 1948년 공화국 대한민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