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한국인의 식탁을 점령한 소와 소고기 탐식의 역사
조선시대 사람들에게 소는 부와 권력을 가져다주는 신성의 대상인 동시에 가장 선호하는 탐식의 대상이기도 했다. 나라에서 신성시되고 농우(農牛)로 활용하며 귀한 대접을 받던 소는 어떻게 한국인의 식탁에 오르게 되었을까? 신성의 대상과 탐식의 대상 사이를 오가며 조선의 역사와 문화, 삶에 깊숙이 개입한 소와 소고기의 역사를 살펴보는 최초의 책이다.
저자소개
1985년 한국교원대학교 역사교육과에서 공부를 시작했고, 1989년 학사학위를, 2001년 석사학위를, 2006년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병주 이종락 선생에게 한학을 사사했다. 연무고등학교에서 역사교사로 일했고, 이후 한국교원대학교, 공주교육대학교, 청주교육대학교, 금강대학교 등에서 강의했다. 2011~2013년에 서울대학교 수의과학연구인력양성사업단에서 BK부교수로서 학제 간 융합연구에 참여했다. 지금은 한국교원대학교에서 ‘한국생태환경사의 이해’, ‘한국근세사’ 등을 강의하고 있다. 생태환경사를 통해 한국사회경제사를 재정립하고, 이를 역사교육의 현장에 적용하는 데 관심을 가지고 연구를 지속하고 있다. 이를 통해 동이불화同而不和의 20세기를 넘어 화이부동和而不同의 21세기를 열어가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주요 저서로『아틀라스 한국사』(공저, 2004),『한권으로 보는 그림 세계사 백과』(공저, 2008),『조선전기 포호정책 연구 - 농지개간의 관점에서』(2009),『인간동물문화』(공저, 2012) 등이, 역서로『정호기』(공역, 2014)가 있다. 대표 논문으로 〈병자호란 전후(1636~1638) 소의 역병[牛疫] 발생과 확산의 국제성〉(2013), 〈16~17세기... 안동과 예안 지방의 농업 개발과 토산물 변동〉(2014), 〈17세기 후반 우역의 주기적 유행이 기근.전염병.호환에 미친 영향〉(2014) 등이 있다.
목차
머리말_‘니밥에 괴기국’에 얽힌 역사성
제1장 조선에서 기르던 소는 몇 마리였을까?
제2장 소고기, 누가 얼마나 먹었소?
제3장 무병장수를 위한 꿈의 먹거리
제4장 소고기가 보편적인 고기가 된 까닭
제5장 도살과 유통 시스템
제6장 소고기를 먹는 특별한 때
제7장 병 치료를 위한 소고기 요리
제8장 선비부터 황제까지, 모두를 위한 소고기 요리법
제9장 17세기 조선 규방의 경험과 학문의 집약체
제10장 18, 19세기, 소고기 요리의 최대 전성기
주석
그림 및 표 목록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