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삼국연의』제5권. 본서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나관중 원저, 모종강 평론·개정》의 《모종강본 삼국(지)연의》를 평론과 협평 등을 포함해 국내 최초로 완역한 책이라는 것이다. 《모종강본 삼국(지)연의》의 전체 원문과 원문에 대한 주석을 달아 놓음으로써(제9권~12권) 《삼국(지)연의》를 통해 한문 공부나 중문학을 공부하려는 독자들의 편의를 도모하였다.
저자소개
중국 원말 ·명초의 소설가 ·극작가.
14세기 원말·명초 뛰어난 통속문학가로 이름은 본(本, 일설에는 관貫), 호는 호해산인(湖海散人)이며, 관중은 자(字)이다. 출생지에 관해서는 샨시성(山西省) 타이위엔(太原) 출신이라는 것을 비롯해 여러가지 설이 있지만, 그의 생애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진 바 없다. 1364년에 살았다는 기록 외에 전기는 밝혀져 있지 않으나 최하급의 관리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그래서 나관중은 소설가 한 사람이 아니라 소설가와 극작가 두 사람일지도 모른다는 말까지 있다. 다만 그의 호인 '호해산인'이 당대 여러 지역을 방랑하며 지내는 문사를 뜻하는 점으로 미루어 떠돌이 문인집단의 일원이었을 것이라는 추측을 가능케 한다.
대표작은 진수(陳壽)의 『삼국지』를 바탕으로 민간의 삼국 설화와 원대(元代)의 삼국희(三國戱) 등 여기저기 흩어져 있는 삼국에 관한 이야기를 한꺼번에 엮어펴낸 『삼국지통속연의(三國志通俗演義)』가 있다. 그밖에 나관중이 지었다고 전해지는 소설로는 『수당양조지전(隋唐兩朝之傳)』 『잔당오대지전(殘唐五代之傳)』 『평요전(平妖傳)』 『수호전(水滸傳)』 등이 있고, 희곡으로는 『풍운회(風雲會)』 『연환간(連環諫)』 『비호자(蜚號子)』 등이 있지만 실제로 그가 지었는지는 알 길이 없다.
목차
제 5 권 玄德爲漢王 현덕위한왕
제 61 회 조운, 강을 가로막아 아두를 빼앗고 / 손권, 서신을 보내 조조를 물리치다
제 62 회 양회와 고패, 부관에서 참수당하고 / 위연, 낙성에서 공을 다투다
제 63 회 제갈량, 방통의 죽음을 통곡하고 / 장익덕, 의리로 엄안을 놓아주다
제 64 회 공명, 계책을 써서 장임을 사로잡고 / 양부, 군사를 빌려 마초를 격파하다
제 65 회 마초, 가맹관에서 대판 싸우고 / 유비, 스스로 익주목을 겸직하다
제 66 회 관운장, 동오의 연회에 혼자서 가고 / 복 황후, 나라 위해 목숨 버리다
제 67 회 조조, 한중 땅을 평정하고 / 장료, 소요진에서 위엄을 떨치다
제 68 회 감녕, 일백의 기병으로 위魏의 영채 습격하고 / 좌자, 술잔을 던져서 조조를 희롱하다
제 69 회 관로, 주역으로 점을 쳐서 천기를 알고 / 다섯 신하, 역적을 치다가 충의에 죽다
제 70 회 장비, 지모로 와구관瓦口關을 취하고 / 황충, 계책을 써서 천탕산을 빼앗다
제 71 회 황충, 맞은편 산에 앉아 적이 지치기를 기다리고 / 조운, 한수에 의지하여 소수 군사로 대병을 이기다
제 72 회 제갈량, 지모로 한중을 취하고 / 조조, 야곡으로 군사를 물리다
제 73 회 현덕, 한중왕의 자리에 오르고 / 운장, 양양군을 공격해서 빼앗다
제 74 회 방덕, 관을 지고 가서 결사전 감행하고 / 관운장, 강물을 터뜨려 칠군을 몰살시키다
제 75 회 관운장, 뼈를 긁어 독을 치료하고 / 여몽, 군사들에게 흰 옷 입혀 강을 건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