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철학적 사유의 발생 과정을 ‘삶’이라는 인간 활동의 기초적인 현상으로부터 설명하는 책이다. 특히 철학사적 관점과 체계적 관점을 통해 철학을 탐구한다. 그리스 철학의 발생과 개념, 근대 철학의 형식 등을 고찰하는 한편 철학이 문학, 예술, 종교와 맺는 관계를 설명한다. 철학의 본질을 규명한다. 딜타이의 후기 사상을 잘 볼 수 있는 입문서다.
목차
서론
제1부 철학의 본질을 규정하기 위한 역사적 접근
제1장 일반적 사태에 관한 최초의 규정들
제2장 체계들의 연관으로부터 철학의 본질적 특성에 대한 역사적 추론
1절 그리스에서 철학이라는 명칭의 성립과, 그곳에서 이 명칭으로 표현된 내용
2절 철학의 개념들에서 표현된 것과 같은 근대 철학의 형식들
1) 형이상학의 새로운 개념
2) 철학의 새로운 비형이상학적 본질 규정
3절 철학의 본질에 대한 추론
제3장 신앙, 문학, 그리고 시와 철학의 연결고리
제2부 정신적 세계의 철학의 지위에서 이해된 철학의 본질
제1장 심적 삶과 사회 그리고 역사의 연관 속으로 철학 기능의 배열
1절 심적 삶의 구조에서의 지위
2절 사회의 구조와 사회에서 종교, 예술, 철학의 지위
제2장 세계관학. 종교와 시의 철학에 대한 관계
1절 종교적 세계관, 그리고 종교적 세계관과 철학적 세계관의 관계
2절 시인의 인생관과 철학
제3장 철학적 세계관. 세계관을 보편타당성으로 고양하려는 시도
1절 철학적 세계관의 구조
2절 철학적 세계관의 유형들
3절 과제의 해결 불가능성. 형이상학의 힘의 쇠퇴
제4장 철학과 과학
1절 문화생활에서의 개념적 기술(技術)에서 성립하는 철학의 기능들
2절 일반적 지식 이론과 개별적 문화 영역들에 관한 이론
3절 과학들과 문학에서의 철학적 정신
제5장 철학의 본질 개념. 철학사와 체계 구성의 전망
해설
지은이에 대해
옮긴이에 대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