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1980년과 1990년 사이 미국에서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 진단을 받은 어린이는 40만 명에서 90만 명으로 증가했다. 2004년 ≪아메리카의학협회 저널≫은 성인 4명 중 1명이, 2012년 CBC는 캐나다 노동자의 50% 이상이 정신질환으로 고통 받는다고 보도했다. 누가 그들을 정신질환으로 진단하고 치료하는가? 정신의학협회, 정신보건당국, 정신과 의사, 심리치료사, 제약회사다. 진단 기준은 무엇인가? 정신질환의 진단과 통계 편람의 분류표다. 어떻게 분류하는가? 투표다. 다중인격장애를 비롯해 많은 정신질환이 투표로 생기거나 사라졌다. 이렇게 간단히 생기거나 사라질 수 있다면 대체 정신질환이란 무엇인가? 철학상담을 가르치고 실천하는 저자가 정신질환 진단의 모순과 약물치료의 문제를 밝힌다. 대화·추론·철학적 사고로 통찰을 이끌어내 는 철학상담의 치유와 예방 효과를 설명한다. 세 가지 철학상담 사례에서 내담자와 나눈 대화를 공개해 철학상담 과정과 방법, 추론 기술을 알려 준다.
목차
옮긴이 서문
한국어판 지은이 서문
감사의 글
들어가기
몇몇 철학적인 배경들
철학, 과학, 의학
마음에 관한 철학 그리고 은유
이 책에 대하여
1부 21세기 초에 바라본 심리치료의 모습
01 문제의 여지가 많은 패러다임들
‘마음’과 ‘뇌’
‘마음질환’의 분류와 진단
비공식 진단들
사회적인 영향
02 문제의 여지가 많은 임상 실천들
이른바 의료 모델
약물 처방의 문제
행복을 느끼게 해 주는 약
인과적 설명(병인학) 때문에 생기는 의원병
인과성과 자유의지
유전학적 설명
03 현대 심리치료의 주요 방향들
과학, 의학 또는 대화치료?
2부 치료의 철학
04 과거의 선구자들
고대의 철학치료
고대 이후 철학치료 전통의 전개
05 임상, 철학의 전용
치료법에서 확인 가능한 철학적 내용
심리치료에서 발견되는 철학의 치료 효과
06 철학의 심리치료 역할
원하는 것과 필요한 것
철학이란 무엇인가?
철학적인 치료로 간주되는 상담
인지
신뢰
감정(정념)
통찰
죄책감, 수치심, 오명에서 벗어나기
대안 관점들
의미
‘임상철학’
07 예방(방지책)의 철학
예방을 위한 교육(발견적 교수법)
3부 적용하기
08 교육 플랜
철학 공부하기
철학과 심리치료의 차이
철학적인 이슈들을 발견하는 법
09 ‘건강함’이 아니라 ‘건전함’이다
철학상담사 양성을 위한 교육 과정의 내용
10 세 가지의 사례 연구
사례 1: 불명예 수사 ‘루크(LUKE)’
사례 2: ‘케이(KAY)’ 진실성의 문제
사례 3: 참전용사 ‘하딩(HARDING)’
결론
11 회복, 치유 그리고 철학
향정신성 약물의 덫
치유 가능성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
회복에 대한 ‘새로운’ 이해
패러다임 전환
철학
부록: 반항성 장애(ODD)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