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국제 권력 판도가 요동치는 전환기
국가의 외교를 생각한다.
한국판 『거대한 체스판』
전 외교통상부 장관이자 국제정치학자 윤영관의
한국 외교 대전략
이 책은 한국의 국제정치적 처지와 나아가야 할 길을 밝힌 외교 대전략서이다. 2008년 세계 금융 위기 이후 미국과 중국의 경쟁이 본격적으로 격화되기 시작했고, 한반도가 위치한 동아시아는 두 대국의 첫 번째 격돌의 장이 되었다. 전 외교통상부 장관이자 저명한 국제정치학자 윤영관 교수는 향후 국제 질서가 흔히 이야기하는 ‘G2’ 양극 체제로 가지는 않을 것이라고 전망한다. 그보다는 미국과 중국이 제1의 변수가 되고, 일본, 러시아, 인도, 유럽 등 대국들이 제2의 변수가 되는 ‘미국과 중국이 선도하는 다극 체제’가 될 것이다. 그 속에서 한국은 한반도를 둘러싼 국제 질서가 양극화하는 것을 막고, 북한 문제를 해결하여 통일을 이루고, 더 나아가 평화와 번영의 토대가 될 외교 공간을 구축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이 책은 이를 위한 한국의 미래 전략을 제시한다.
저자소개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이다. 2003~2004년 외교통상부 장관을 지냈다. 서울대학교 문리대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받았고, 미국 존스홉킨스대학교 국제관계대학원(SAIS)에서 패권국 권력이 쇠퇴하는 경제적 메커니즘에 관한 역사 및 사례 연구로 국제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캘리포니아대학교 데이비스캠퍼스에서 3년간 조교수를 지냈으며, 1990년부터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로 옮겨 학생들을 가르치며 국내 학계에 국제정치경제학을 소개해 왔다. 한국 정치경제의 미래 대안을 연구하는 싱크탱크인 ‘미래전략연구원’과 북한 및 통일 문제를 다루는 ‘한반도평화연구원’을 설립하여 운영했다. 2011년부터 2012년까지 아세안+3(ASEAN+3)의 자문기구인 동아시아비전그룹 II(EAVG II)의 공동의장을 역임했다.
지은 책으로 『전환기 국제정치경제와 한국』(1996년), 『21세기 한국정치경제모델』(1999년)이 있으며, 『북핵문제와 한반도 평화정착』(2008년), 『한국외교 2020 어디로 가야하나?』(2013년), 『한반도 통일』(2013년), 『북한의 오늘』(2013년), 『통일한국의 정치제도』(2015년) 등을 편집, 출간했다. 그 외에 수십 편의 논문을 국내외 학술지에 게재했으며, 국내 언론 및 해외 웹진 『프로젝트 신디케이트(Project Syndicate)』에 칼럼을 기고하고 있다. 그의 논문과 기고문들은 홈페이지에서 볼 수 있다. 현재 서울대학교에서 학생들, 젊은 연구자들과 소통하며 그들이 미래를 준비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그리고 다른 무엇보다 ‘한반도의 통일’을 꿈꾸면서 읽고, 가르치고, 쓰고, 강연하는 일에 몰두하고 있다.
목차
책을 펴내며
|역사의 장|
제1장 권력 부침의 세계사와 소국의 딜레마
권력 부침의 세계사 | 미국 패권의 부침 | 역사 속의 약소국 | 한국의 전략은 무엇인가
제2장 미국 패권의 절정과 쇠퇴의 씨앗
소련의 붕괴 | 냉전 질서의 종결 | 미국 패권의 절정 | 권력의 자만 | 패권 쇠퇴의 씨앗을 뿌리다
제3장 권력 상승과 하강의 정치경제
패권국과 도전국의 정치경제 | 미국: 패권국 후기의 정치경제 | 중국: 도전국 절제의 정치경제 | 전망
|국제 정치의 장|
제4장 미국과 중국의 경쟁
미중 격돌의 장, 동아시아 | 중국의 경제적 영향력 확대 전략 | 중국의 군사적 영향력 확대 전략 | 미국의 대응 | 미국의 대중국 포용은 성공할 것인가
제5장 4대국의 움직임
일본: 외교안보 대국의 꿈 | 러시아: 옛 소련 시절의 위상 회복 | 인도: 비동맹의 리더에서 다동맹 대국으로 | 유럽: 통합 속의 혼미
제6장 미국과 중국이 선도하는 다극 체제
미중이 선도하는 다극 체제 | 1890년대 이후 유럽과 오늘날의 미중 관계 | 중국의 신형대국관계 제안 | 미중 대타협을 어떻게 추진할 것인가 | 좋지 않은 시나리오 | 동아시아 다자 안보협력의 틀을 만들어야
|한국의 장|
제7장 주변 4대국과 한반도
국제 정치와 한반도 | 적극적 주도자로서의 한국 | 미국과 한반도 | 일본과 한반도 | 중국과 한반도 | 러시아와 한반도
제8장 북한 문제의 딜레마
북한 문제의 뿌리 | 북핵 위기와 미국 | 북한 경제의 변화 | 김정은 체제의 출발 | 대북 정책, 어떻게 할 것인가
제9장 외교의 시대
삼축 외교 전략 | 횡축 외교 | 종축 외교 | 글로벌축 외교 | 내부 역량의 문제
제10장 통일을 향하여
대외적 통일 전략: 원심력을 약하게 | 대내적 통일 전략: 구심력을 강하게
후주
참고 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