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 적개심만으로는 절대 이길 수 없다.”
역사적 재앙을 통해 우리 자신을 돌아보게 하는 ‘임진왜란 통한의 기록’
2004년 최고시청률 TV드라마 [불멸의 이순신] 이후 10년 만인 2014년에 영화 [명량]이 사상 최대 관객을 불러 모으며 다시 한 번 국민적 관심을 이끌어냈다. 2015년 2월부터 KBS-TV에서 방영되는 대하드라마 [징비록(懲毖錄)]은 류성룡(柳成龍)이 집필한 또 하나의 임진왜란 전란사로, 역사적 참극을 통해 오늘을 사는 우리를 돌아보게 하는 통한의 기록이다.
《징비록》은 7년여에 걸친 전란 동안 조선의 백성들이 겪어야 했던 참혹한 상황을 기록하고 일본의 만행을 성토하면서, 그러한 비극을 피할 수 없었던 조선의 문제점을 낱낱이 파헤침으로써 후대에 교훈을 주고 있다. ‘징비(懲毖)’는 《시경(詩經)》에서 따온 말로 ‘지난 일을 경계하여 후환을 대비한다’는 뜻이다. 이 같은 목적으로 저술된 《징비록》은 조선시대 최고의 기록문학으로 평가받는다.
목차
머리말
들어가는 글
징비록 서
권1
권2
권3
권4
녹후잡기
전란의 조짐 / 왜군의 전략 실패 / 지형 / 성
진주성과 포루 / 군사 전략과 장수 / 부교
군사 훈련 / 심유경의 편지 / 심유경은 유세하는 선비이다
부록
류성룡·임진왜란·징비록 연표 / 《징비록》 등장인물 관계도 / 임진왜란·정유재란 전투 일지
이미지 출처
참고도서
찾아보기
【 징비록 깊이 읽기 차례 】
1 일본의 호전적인 속성을 꿰뚫어 본 신숙주의 《해동제국기》
2 임진왜란의 전초 기지 나고야 성
3 류큐 국과 동아시아
4 진관 제도와 제승방략의 차이: 지역 방어와 대인 방어
5 조선의 포로 송환 정책과 범릉적 사건
6 선조의 의주 몽진 중에 생긴 일과 정권의 교체
7 명나라 군대의 다국적군 성격
8 이순신과 원균의 만남과 갈등
9 신화의 탄생 학익진 전법: 옥포 해전부터 한산도 대첩까지
10 영천성의 수복과 의병 연합군의 활약
11 이여송의 평양성 탈환과 명나라 원군의 이중적인 면모
12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강화 조건과 협상 결렬의 전말
13 칠천량 해전의 참패와 정유재란의 발발
14 최후의 전투 노량 해전과 이순신의 죽음
15 괴상한 징조인가, 정책적 무지인가?
16 선정릉 도굴 사건과 중종의 시신 처리 문제
17 선조의 재조지은 강조와 의병장들에 대한 차가운 시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