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한국 현대사를 관통하는 경향신문 명칼럼 243選
‘여적餘滴’이란 ‘붓 끝에 남아 있는 먹물’을 뜻한다. 경향신문 ‘여적’난은 한국 근 현대문학사에 큰 발자취를 남긴 정지용 시인에 의해 탄생하여 1946년부터 2011년까지 실린 것만으로도 2만 수백 건에 달하는 최장수 고정 칼럼이다.
남은 먹물이나 잉크를 부담 없이 쓰듯이 격식을 차리지 않고 필자 나름의 스타일로 세상을 비평하고 풍자하는 여적은 역사적으로 살펴볼 때 결코 ‘쓰다 남은 먹물’이 아니었다. 그래서 오만한 권력자들에게는 눈엣가시 같은 존재이기도 했지만, 정치•경제•국제•사회•문화 등 모든 분야에 걸쳐 인간과 사회에 대한 이해를 넓히는 촌철살인의 풍자와 다양한 논평으로 사람들의 마음을 푸근하게 해주었다.
이 책은 독자의 편의를 위해 시대와 분야별로 상징성 있는 여적들만 발취한 것으로 앞으로도 여적 칼럼은 계속될 것이다.
목차
책을 펴내며
제4장 문화
백악관 만찬 | 무령왕릉 발굴 | 아시아 문화권 |단비 | 불탄일 佛誕日|신문의 사명|컬러방송 |신록송 新綠頌| 교황의 한국어 韓國語| 국민 총음주량|’신문의 날’ | 죽음의 이데올로기| 사대주의 事大主義 근성 | 난센스 코미디| 대타협 大妥協| 큰 글| 발해 기원 | 호칭 呼稱 표기 | 경향의 뿌리 | 한복 | 역사의 아이러니 | 여성론 | 동양극장 | 광신도 | 오렌지족 | 고해성사 | 슬픈 보신탕 | 윤이상의 한 | 월인 석보 月印釋譜 | ‘이 뭐꼬’ | ‘팡테옹’ | 용산 국립중앙박물관 | 남근 男根 공원 | 안중근 의사 | 양수리의 연꽃 | 고려청자 | 파란 눈의 주지 | 직지심체요절 直指心體要節 |늑도 勒島와 야오이문화 | 미의 기준 | 장수의 꿈 | 김지하 | 중화사관 | 최민식, 송강호 | 상화하택 上火下澤 | ‘돌아와요 부산항에’ | 말의 품위 | 비목 | 간장 | 장자 |대하소설 | 보름달 | 홍난파家 |’슈퍼스타 K2’ 탈락자를 위하여 | 파리의 밤을 달군 한류 韓流 | 약탈문화재
제5장 지구촌
핵실험 반대| 동베를린 간첩사건| 영빈관의 첫 손님 | 왕정의 몰락 | 엔테베 작전|무단정치 武斷政治 |흑인돌풍 黑人突風| 무너진 장벽 | 돈세탁 | 오, 사라예보! | 근로자 바웬사 | 왕세자의 이혼 |시드니 남성| 화장 유언 | 총리의 바느질 |수장 水葬 |재난과 일본인 | 사무사 思無邪| 샴쌍둥이의 비극|나는 살고 싶다 | 알 카에다 |그라스의 고백| 정화의 함대 | 알 자지라 10년 | 부시맨의 귀향 |이백 李 白의 고택| 노르웨이의 증오 | 망각과 타조 | 차르 푸틴 |
제6장 과학
아폴로 13호 | 고리 원자력 | 연탄가스 주의보 | 과학정신 | 전자감지장치의 힘 | 된장과 암| 신용카드와 암호| 엘니뇨현상|IMF 대기|달의 상업적 활용| 아스피린 100년 |돌리의 조로 早老| 밀레니엄 나무 |고래의 귀환| 한민족의 뿌리| 왕들의 질병|킬리만자로| 동의보감 | 우주, 우주인 | 새들의 북상 | 공상의 힘 |신 新 24절기
제7장 스포츠
값진 준우승| 탁구 세계제패| 스포츠의 진면목| 선수촌 | 잠실 蠶室 벌 그랜드 슬램| 골퍼의 한국병| 국민 남동생| 부상 투혼 | 작은 감동 로체샤르| 명예의 전당 | 복서 최요삼| 히딩크의 마법 |고마워요, 봉달 씨| 남북 단일 탁구팀| 신데렐라 맨의 진실 |정대세와 제레미 린
편집 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