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새로운 문화콘텐츠학
- 저자
- 신호림,안창현,이건웅,콘텐츠문화학회,이종훈,임동욱,노창현,태지호,성종현 저
- 출판사
- 커뮤니케이션북스
- 출판일
- 2025-02-28
- 등록일
- 2025-08-08
- 파일포맷
- EPUB
- 파일크기
- 24MB
- 공급사
- YES24
- 지원기기
-
PC
PHONE
TABLET
웹뷰어
프로그램 수동설치
뷰어프로그램 설치 안내
책소개
2000년대 들어 미래의 동력으로 문화 산업이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이 책은 문화콘텐츠학을 전공한 신진 학자들이 치열한 논의를 거쳐 그 개념과 범주, 현황과 앞으로의 발전 방향을 정리했다. 특히 개정판은 2017년 이후 달라진 최신 사례를 통해 문화콘텐츠의 이론과 실제를 균형있게 제시했다. 대학의 문화콘텐츠학 개론서로 이 분야에 진출하려는 학생에게 다양한 기회와 아이디어를 제공한다.
저자소개
한양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하고, 중국 북경사범대학교 중문과에서 석사 후 한양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양대학교 문화콘텐츠전략연구소 책임연구원, 한양대학교 BK21 연구교수를 거쳐 현재 한양대학교 중어중문학과 겸임교수로 재직 중이다. 다양한 문화콘텐츠와 비교문화연구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서유기 고전의 부활』, 『새로운 문화콘텐츠학』(공저), 『중국 미디어와 대중문화』(공저) 등이 있다.
목차
01 문화콘텐츠란 무엇인가ㆍ태지호문탄화콘텐츠의 탄생문화콘텐츠의 정의문화콘텐츠의 끝없는 외연 확장력02 문화콘텐츠는 변화하는 학문이다ㆍ태지호문화콘텐츠는 어떻게 학문이 되었나문화콘텐츠학은 무엇을 다루는가문화콘텐츠학은 어떻게 하는가문화콘텐츠학의 미래03 문화콘텐츠는 원형의 변주다ㆍ안창현문화 원형, 매력적인 창작 소재문화 원형과 가치문화 원형과 변주문화 원형 활용 사례04 문화콘텐츠는 스토리텔링이다ㆍ신호림이야기와 지식 체계이야기의 가치 변화와 스토리텔링의 등장스토리텔링의 개념과 원리스토리텔링의 역설과 실천적 가능성05 문화콘텐츠는 체험과 공감이다ㆍ임동욱체험 경제의 시대콘텐츠 체험 요소의 강화문화콘텐츠는 공감이다비극 콘텐츠의 공감 활용06 문화콘텐츠는 기획이다ㆍ이종훈기획의 역사문화콘텐츠와 기획의 접합문화콘텐츠에서 기획이란07 문화콘텐츠는 산업 정책이다ㆍ이건웅문화 정책의 개념한국과 해외의 문화콘텐츠 정책한국의 문화 정책 쟁점들해외의 문화 정책 쟁점들08 문화콘텐츠는 대중문화다ㆍ노창현대중과 대중문화대중문화는 왜 항상 논쟁의 대상인가문화콘텐츠와 대중문화의 공통 특성대중문화 주체로서의 향유자09 문화콘텐츠는 기술 융합이다ㆍ임동욱융합의 시대, 콘텐츠의 탄생인문 예술과 과학기술의 융합기술 융합에 대한 시선들10 문화콘텐츠는 글로벌 콘텐츠다ㆍ이건웅한국 콘텐츠의 세계화한류와 혐한류웹툰의 세계화한식의 세계화11 문화콘텐츠는 로컬 콘텐츠다ㆍ안창현지역성을 갖춘 콘텐츠는 독특하다지역문화와 문화 산업지역과 관광 공연 상품문화를 활용한 도시 재생12 문화콘텐츠는 예술이다ㆍ이종훈문화콘텐츠와 예술의 공유 영역근대 예술의 난관예술과 삶의 화해예술과 문화콘텐츠13 문화콘텐츠는 산업이다ㆍ성종현문화콘텐츠 산업의 정의와 특성문화콘텐츠 산업의 동향과 환경 변화문화콘텐츠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분석과 전략문화콘텐츠 산업의 성공 사례와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