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마음의 잔에 담긴 절망과 슬픔을
지혜와 평화, 기쁨으로 바꿀 수 있다면”
장영희의 열두 달 영미시 선물,
지금 이 순간을 사랑하는 마음을 담다
살아 있는 동안 많은 이들에게 삶의 축복과 희망에 대해 감동적인 메시지를 전했던 장영희 교수. 그의 5주기를 맞아, 한 일간지에 〈장영희의 영미시 산책〉이라는 제목으로 1년간 연재되었던 120편의 칼럼 중 계절에 관한 시 29편을 담아 책으로 엮었다.
“청춘이 아름다운 것은 이제 곧 사라지기 때문입니다. 봄도 그러하지요. 하지만 봄이 지나고 오는 여름, 가을, 겨울…… 어느 계절이든 화려하고 아름답지 않은 계절이 없습니다.” 365일 하루도 같지 않은 날들. 사실 매일매일이 선물 같을 수는 없다. 하지만 장영희 교수는 어느 계절도 아름답지 않은 계절이 없고, 매일매일이 소중한 하루라고 말한다.
“청춘은 아름답습니다. 하지만 되돌릴 수 없는 청춘에 연연하지 않고 지금의 내 계절을 받아들이는 것은 더 아름답습니다.” 그리고 우리 삶의 계절 또한 지금 이 순간의 계절이 가장 아름다운 것이니 지나간 시간에 연연할 것 없다고 말한다.
이 책에서는 영문학도가 아니어도 누구나 가슴으로 읽을 수 있는 영미시들을 소개하고 있는데, 장영희 교수의 섬세한 감수성과 삶에 대한 통찰이 담긴 해설을 함께 읽노라면 그 감동이 배가된다. 1년 열두 달 삶에 관한 선물 같은 메시지를 천천히 마음으로 음미하는 동안 오늘 하루, 지금 이 순간의 소중함에 대해 다시 한 번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저자소개
생후 1년 만에 두 다리를 쓰지 못하는 소아마비 1급 장애인이 됐지만 거뜬히 장애를 딛고 영미문학자이자, 수필가의 길을 걸어왔다. 번역가, 칼럼니스트, 중·고교 영어교과서 집필자로 왕성한 활동을 하면서도 《문학의 숲을 거닐다》의 인기로 '문학전도사'라는 별칭을 얻었다. 조선일보 '아침논단' 칼럼과 각종 수필을 통해 밝고 열정적인 삶의 자세를 표현해 독자들의 사랑을 받았다. 영미 시를 독자들이 이해하기 쉽게 번역해 소개한 것으로도 유명하다. <코리아 타임스>에 13년째 쓰고 있는 영문 칼럼 'Crazy Quilt(조각이불)'와 월간 <샘터>에 정기적으로 기고한 글로 널리 알려져 있는 그녀는 문학과 뗄래야 뗄 수 없는 사이다.
서울대학교 명예교수인 고(故) 장왕록 교수의 자녀로, 1971년 서강대학교 영문과에 입학, 1975년 졸업하고 1985년 뉴욕주립 대학에서 영문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미국여성학사회(AAUW)에서 주는 국제여성지도자 연수자로 뽑혀 컬럼비아 대학에서 1년간 번역학을 공부했으며 서강대학교 영문과 교수이자 번역가, 교육부 검정 초·중고교 영어교과서 집필자로 활동하였다.
아버지는 딸이 이 땅에 발붙이고 살 수 있는 길은 오직 남과 같은 교육을 받는 것뿐이라 판단했고, 그녀를 일반학교에 보내는 일에 필사의 노력을 기울였다. 초등학교 3학년 때까지 그는 어머니의 등에 업혀 학교에 갔다. 그것으로 끝이 아니라, 그를 화장실에 데려가기 위해 어머니는 두 시간에 한 번씩 학교를 들락거려야 했다.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 진학까지가 학교의 입학거절을 넘어야 하는 고난의 연속이었다. 모 대학 박사과정에 입학하려던 시도 또한 보기 좋게 좌절당하며, 편견과 차별에 의해 죽어야 하는 괴물이 아닌 인간으로 존재하기 위해 전액 장학금을 준 뉴욕주립대학으로 진학하였다.
정식 교수가 된 뒤에도 그는 여전히 치열하게 살았다. 제자에게 헌신하는 것으로 유명한 그녀는 수업을 맡은 모든 학생들의 이름을 외웠다. 수업시간엔 더할 수 없이 깐깐하지만 사적으로는 언니처럼, 엄마처럼 한없이 따뜻하고 의지가 되는 스승이 된 것이다. 다른 사람보다 몇 배 더 부지런한 것으로 유명한 그녀는 이웃의 눈물에 아파하고 공감하는 만큼, 그 누군가에게 눈물이 되고 아픔이 되지 않기 위해 무수히 자신을 채찍질할 줄 아는 사람이다.
김현승의 시를 번역하여 코리아타임스에서 주최한 '한국 문학 번역상'을 수상했으며, 2000년에는 월간 『샘터』에 연재했던 글들을 모아 수필집 『내 생애 단 한번』을 펴냈다. 이 책으로 2002년부터 국어문화운동본부가 수여하기 시작한 '올해의 문장상'의 1회 수상자가 되었다. 2003년에는 아버지인 故 장왕록 교수의 추모 10주기를 기리며 기념집 『그러나 사랑은 남는 것』을 엮어 내기도 했다. 한국 영어영문학회, 한국 미국소설학회, 한국 마크 트웨인 학회, 한국 헨리 제임스 학회, 번역학회, 세계비교문학학회 등의 학회활동을 하였다.
2001년에 유방암 선고를 받은 후 완치되어1년 후 다시 강단으로 돌아왔다. 그러나 2004년 척추에서 암이 재발하고, 간암판정까지 받는 등 연이은 시련을 겪게 되었다. 하지만 그녀는 혹독한 병마와 싸워오면서도 세상 사람들에게 희망과 긍정적인 삶을 보여주었고, 투병 기간 중에도 『문학의 숲을 거닐다』, 『축복』, 『생일』 등 책과 일간지 칼럼을 통해 희망과 감동을 선사하였다
주요 논문으로는 「19세기 미국소설 시대 및 문학개관」, 「Huckleberry Finn's Dual Dision」,「Korean Sources & References in Jack London's The Star Rover」,「The City as Psyche in The Scarlet Letter & Sister Carrie」,「Emerson, Thoreau, & Failure of Transcendentalism」,「펄벅의 생애와 작품」,「은유로서의 신체장애: 미국 문학의 경우」, 「"Much Truer and More Curious?" Creation and Revision of James's The Bostorians」가 있다.
저서로는 『생일: 장영희의 영미시 산책 1』, 『English Readings: Reading Skill Series』,『내 생애 단 한번』,『교육부 검정 Middle School English』,『문학의 숲을 거닐다』가 있다. 역서로는 『살아있는 갈대』, 『슬픈 카페의 노래』,『이름없는 너에게』, 『큰 물고기』,『세상을 다 가져라』, 『스칼렛』, 『피터팬』『햇볕드는 방』 『바너비 스토리』 등이 있다. 특히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스칼렛>,<살아 있는 갈대>는 부친(故장왕록 박사)과 함께 번역해서 화제가 되기도 하였다. 이청준의 소설 《당신들의 천국This Paradise of Yours》을 영역해 해외에 소개하기도 했다.
그 중 대표작인 『문학의 숲을 거닐다』는 조선일보의 '문학의 숲, 고전의 바다' 코너에 실렸던 장영희 교수의 북칼럼 모음집으로 척추암 선고를 받기까지 약 3년간 연재된 글들을 모았으며, 세계의 고전문학들이 그녀 자신의 삶을 얼마나 풍요롭게 하였는지? ?해 작가 특유의 편안한 문체로 쓰여진 책이다. 그리고 마지막 수필집인 『살아온 기적, 살아갈 기적』을 완성해 암과 장애로 힘들어하는 사람들에게 희망의 빛을 남기고, 2009년 5월 9일 낮 12시 50분, 향년 57세를 일기로 타계하였다.
목차
추천의 글 책 속에서 피어나는 그리움_이해인
January
사랑과 행복의 종 울려라 〈우렁찬 종소리여 울려 퍼져라〉 _앨프리드 테니슨
복 받을 준비 되어 있나요? 〈새해 생각〉 _램 P. 바르마
February
봄을 기다리는 애틋한 저녁 〈2월의 황혼〉 _새러 티즈데일
운명에 맞서 보라 〈서풍에 부치는 노래〉 _퍼시 비시 셸리
삶을 채우는 건 작은 아름다움 〈삶은 작은 것들로 이루어졌네〉 _메리 R. 하트먼
March
3월님, 잘 지내셨나요 〈3월〉 _에밀리 디킨슨
이제 두 팔 벌려 너를 맞으리 〈봄 노래〉 _로버트 브라우닝
행운보다 소중한 행복 〈네 잎 클로버〉 _엘라 히긴슨
April
웃고도 싶고 울고도 싶은 4월 〈4월에〉 _앤젤리나 웰드 그림크
꽃 피는 봄을 영원히 볼 수 있다면 〈나무 중 제일 예쁜 나무, 벚나무〉 _A. E. 하우스먼
May
청순한 푸름의 계절, 5월 〈5월은……〉 _모드 M. 그랜트
빗물을 금빛으로 물들이는 데이지꽃처럼 〈연금술〉 _새러 티즈데일
June
청춘을 닮은 싱그러운 계절 〈인생은 아름다워라! 6월이 오면〉 _로버트 S. 브리지스
사랑이 무어냐고 물으신다면 〈새빨간 장미〉 _로버트 번스
얼마나 오랜 세월을 견뎌야 〈바람 속에 답이 있다〉 _밥 딜런
July
네 가슴 숨은 상처 보듬을 수 있다면 〈만약 내가……〉 _에밀리 디킨슨
그대 만난 뒤 내 삶은 눈떴네 〈생일〉 _크리스티나 로세티
August
계절은 이렇게 깊어 가는데 〈찻집〉 _에즈라 파운드
삶이 늘 즐겁기만 하다면 〈하늘에 온통 햇빛만 가득하다면〉 _헨리 밴 다이크
September
오늘은 나머지 삶의 첫날 〈자작나무〉 _로버트 프로스트
성숙한 사랑의 모습이란 〈사랑에 관한 시〉 _로버트 블라이
돌아오지 않을, 가버린 날들의 행복 〈부서져라, 부서져라, 부서져라〉 _앨프리드 테니슨
October
움켜쥐어도 결국은 흘러갈 것을 〈10월〉 _토머스 베일리 올드리치
삶에는 수백 갈래 길이 있지만 〈가지 못한 길〉 _로버트 프로스트
November
가을 잎새에 눈물 떨어지듯 〈낙엽은 떨어지고〉 _윌리엄 버틀러 예이츠
아름답게 늙는다는 것 〈아름답게 나이 들게 하소서〉 _칼 윌슨 베이커
December
옳은 것 옳게 하는 당신 〈크리스마스 종소리〉 _헨리 워즈워스 롱펠로
하얀 눈덩이, 알고 보니 오줌싸개 〈눈덩이〉 _셸 실버스타인
겨울같이 차가운 세상을 살더라도 〈눈사람〉 _월러스 스티븐스
또 하나의 선물 시가 지친 마음 쉬게 할 수 있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