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소개
한국외국어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했고 같은 대학교 대학원에서 「고전적 합리주의의 현대적 해석: 스트라우스, 보에글린, 아렌트를 중심으로」라는 주제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지금은 한국외국어대학교 자유전공학부 교수로 있으면서 한나아렌트학회 회장을 맡고 있다. 동료 연구자들과 함께 아렌트의 다양한 모습을 조명하는 작업을 꾸준히 하고 있다. 저서로는 『현대 정치철학의 지형: 언저리에서의 사유』, 『정치의 대전환』(공저), 『한나 아렌트와 세계사랑』(공저), 『언어와 정치』(공저)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한길사에서 펴낸 한나 아렌트의 『혁명론』을 비롯해 『정신의 삶』 『어두운 시대의 사람들』, 영-브륄의 『한나 아렌트 전기: 세계사랑을 위하여』 등이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한나 아렌트 정치철학에서 선악의 문제」 「정치적 책임과 용서에 대한 한나 아렌트의 이해」 「칼 야스퍼스와 한나 아렌트의 대화: 정치철학적 논제를 중심으로」 등이 있다.
목차
아렌트, '바로 여기서' 세계사랑을 말하다
아렌트는 어떤 사상가인가
1 인간의 삶을 어떻게 엮었는가
정치적 사유 - 개념적 사유와 이야기하기
2 우리는 왜, 어디서, 어떻게 사는가
인간조건, 활동적 삶, 활동영역
3 우리는 정신의 삶 속에서 무엇을 하는가
동일성과 차이의 공존 : 사유, 의지, 판단
4 '새로운 시작'은 왜 중요한가
세계와 인간의 탄생, 정치적 탄생, 제3의 탄생
5 정치의 존재이유가 자유인가
자유의 몇 가지 유형 : 차이와 관계
6 권력과 폭력은 대립적인가, 상호 의존적인가
권력의 정당성과 폭력의 정당화 문제
7 전통과 혁명적 변동은 공존할 수 있는가
서구 정치사상과 정치행위의 전통
8 책임과 용서는 왜 정치행위인가
가해자, 피해자의 역사청산과 화해
9 '인간성'은 어떠한 형태로 발현되는가
'비세계적' 사랑. 후마니타스, 세계사랑
10 이데올로기, 거짓말, 진리는 정치를 손상시키는가
반정치적 사유에서 정치적 사유로의 귀환
아렌트와 관련된 사상가와 연구경향
주註
아렌트를 알기 위해 더 읽어야 할 책
아렌트를 이해하기 위한 용어 해설
아렌트에 대해 묻고 답하기
아렌트에 대한 증언록
한나 아렌트 연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