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이성계, 말재주로 놀라게 하고 화살로 끝내다
*일본에 전해진 최초의 한류(韓流) 마상재
▶조운흘의 신선 장난과 홍장의 애절한 사랑 이야기
*‘눈 하나 깜빡하지 않는다’라는 말의 유래
▶기생 설중매의 절묘한 풍자
*기생의 유래
▶정도전의 이름과 아호 뜻이 왜곡된 연유
*천자(天子)가 남향하여 앉은 까닭
▶함흥차사와 살꽂이 다리
*최후의 승리자, 하륜
▶사라진 진주의 범인은 거위
*주막의 역사와 목로주점 및 선술집 어원
▶세종대왕의 금지옥엽이 굶어죽을 운명이라니
*忍(참을 인)자 세 번이면 살인을 면한다는 말의 유래
▶맹사성과 젊은이의 공당 문답
*인침연에 얽힌 사연
▶명재상 황희는 청백리가 아니었다!
*‘청백리’란 말은 언제 생겼을까
▶세 번 물었을 때 세상에 나온 성삼문
*사육신은 왜 죽음을 택했을까
▶신 정승, 구 정승 세조의 말장난 벌주
*숙주나물의 어원에 대한 고찰
▶이징옥이 멧돼지를 산채로 잡아온 비법
*‘영문을 모르다’ 유래
▶꿈꾸다 죽은 늙은이, 매월당 김시습
*최초의 한문소설 금오신화
▶남이 장군, 억울한 죽음의 미스터리
*무속신앙에 장군이 많은 까닭
▶멋지고 지혜롭게 술을 마신 선비 손순효
*목욕재계를 왜 했을까
▶찢어진 소매를 꿰매지 않은 까닭
*두루마기의 유래
▶돼지정승 장순손과 검은 고양이
*돼지머리를 제사상에 올리는 연유
▶‘함구령’이란 말을 유행시킨 연산군
*채홍사와 흥청망청 어원
▶주세붕이 백운동서원을 세운 까닭
*삼계탕 유래-닭고기와 인삼을 같이 삶는 까닭
▶완벽한 도덕주의자 조광조
*반정 때 말머리 방향을 보고 안심한 중종
▶퇴계 이황의 남모를 눈물
*제사상에 모시는 ‘신주’란 무엇인가
▶재치 넘치는 지혜의 달인, 이항복
*수결에 一心(일심)이 많은 까닭
▶이덕형이 첩을 버린 이유
*첩 혹은 소실의 유래
▶우복룡, 닭 한 마리의 지혜
*고을 관아를 왜 ‘동헌’이라 부를까
▶홍순언의 기이하고도 특별한 인연
*역관 중에 부자가 많은 이유
▶최경창과 홍랑의 순애보 사랑
*‘순애보’ 어원과 의미
▶음식상을 두 번이나 물리친 이지함
*이지함이 정말 <토정비결>을 썼을까
▶기생 매창과 남녀간 깊은 우정을 나눈 허균
*허균이 <홍길동전>을 쓴 까닭
▶말 그림을 주며 남긴 수수께끼
*사랑방에 대하여
▶주술로 복수한 유인숙의 계집종
*사주팔자와 팔자란 무엇인가
▶죽어서야 영웅이 된 임경업 장군
*칼과 검의 차이, 그리고 임경업의 검(劍)
▶침착하고 담력 강한 이완
*효종이 북벌 상징으로 생각한 명마 벌대총
▶장희빈 사랑에 웃고 권력에 울다
*비(妃)와 빈(嬪)의 차이
▶기생의 다리 들기 해보셨습니까
*유기와 ‘안성맞춤’ 어원에 대한 오해
▶민정중, 부서진 다리를 다시 부순 까닭
*국왕 묘호는 왜 ‘조’와 ‘종’으로 구분될까
▶안용복은 어떻게 무인 독도를 지켰을까
*독도(獨島) 어원
▶아전에게 속고 하인에게 감동한 조태채
*사약의 성분은 무엇일까
▶김우항, 기생 홍도에게 은혜 입다
*잔치와 모꼬지 어원
▶영조가 방석에 앉기를 꺼려한 연유
*방석, 꽃방석, 돈방석, 바늘방석의 어원
▶왜 ‘암행어사’하면 ‘박문수’일까
*암행어사가 이용한 마패의 말은 몇 마리일까
▶정홍순 집에 사위가 발길 끊은 사연
*국보 1호 남대문
▶사도세자, 뒤주에 갇혀 죽고 궤로 위로받다
*사화에 대한 핵심적 고찰, 그리고 오해
▶배 위에 올라간 독사를 어찌할까나
*담배의 유래, 그리고 맞담배 금기 관념의 근원
▶박지원의 기막힌 술 낚시
*막걸리와 동동주, 그리고 모주 어원
▶공짜 재산과 아들 출세를 맞바꾼 정승 부인
*마제은 혹은 말굽은에 대하여
▶홍국영이 내기 바둑에 당한 사연
*바둑 고수를 ‘국수’라 부르는 이유
▶정약용에게 행운을 안겨준 이별시
*수작 문화와 ‘참작’의 어원
▶도둑을 개과천선시킨 홍기섭
*엽전, 푼돈, 무일푼, 개평의 어원
▶방랑시인 김삿갓은 왜 유명할까
*백일장 유래
▶명필로 이름 떨쳤으나 운명은 기구했던 추사 김정희
*입춘에 ‘입춘대길’이라고 쓰는 이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