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평범한 사람들의 근현대사와 함께 그 시대의 문화풍속을 함께 설명한 역사교양서.
어느 한쪽에 치우치지 않은 관점으로 근현대사를 다뤘으며,
근현대의 주요 기록물을 참조하여 정사와 야사의 틀에 갇히지 않고 흐름을 서술했다.
특히 거대한 사건들에 가려졌던 민초들의 삶도 많이 조명하였고,
일화와 관련된 핵심어의 유래나 시대 배경을 살핌으로써 근현대사에 대한 이해를 높였다.
목차
▶연줄 값으로 연줄을 만든 김병국
*연날리기 풍속의 유래와 의미
▶이용익, 금덩어리를 캐서 나라에 바치다
*노다지 어원
▶일본이 1876년 강화도에서 군함으로 시비 건 이유
*조일수호조규의 의미
▶요지경과 성냥, 그리고 개화파
*성냥 어원과 유래
▶신사유람단과 태극기 탄생 배경
*태극기의 유래와 의미
▶임오군란과 양복, 그리고 친일파의 유래
*신작로 어원
▶무녀 이씨가 진령군에 봉해진 사연
*옛날사람들은 어떻게 점쳤을까
▶최초의 영어 통역사 윤치호
*자전거를 처음 탄 우리나라 사람
▶한국 최초의 근대적 신문 한성순보
*‘간에 기별도 안 가다’ 어원
▶김옥균의 계책과 드라마 같은 갑신정변
*갑신정변은 왜 ‘삼일천하’로 끝났을까
▶알렌, 서양 의술로 조선 왕실의 마음을 사로잡다
*유성기와 우리나라 최초의 DJ
▶자객과의 두뇌싸움
*우리나라 최초의 프랑스 유학생
▶조선 최초의 해외비자금 밀반출 사건
*왜 고려인삼이 유명할까
▶조선 후기 농민들이 동학에 적극 동참한 이유
*전봉준이 ‘녹두장군’으로 불린 까닭
▶손병희의 배짱과 기지
*최초로 자동차를 탄 민간인 1호
▶여우사냥
*민비와 명성황후의 호칭 차이
▶차라리 내 목을 자르시오
*구한말에 집집마다 초상 사진을 걸어놓은 연유
▶러시아의 치밀한 음모, 아관파천
*신부용 가마에 호랑이가죽을 씌운 까닭
▶고종은 왜 나라 이름을 ‘대한제국’으로 바꿨을까
*옥새의 유래
▶고종 커피 독살 미수 사건
*우리나라에서 가장 먼저 커피를 마신 사람
▶치하포 사건과 고종의 전화 한 통
*‘전화 걸다’라는 말의 어원
▶매국노 송병준과 이용구의 정략적 만남
*구한말 일진회와 학생 폭력조직 일진회
▶‘을사조약’이 아니라 ‘을사늑약’이라 해야 하는 까닭
*‘을사늑약’과 관계없는‘을씨년스럽다’의 유래
▶최초의 세계일주와 피를 먹고 자란 대나무
*처음으로 명함을 사용한 우리나라 사람
▶금연 아이디어로 시작된 국채보상운동
*대중목욕탕과 ‘목간하다’의 유래
▶돌아오지 못한 헤이그 밀사
*내탕금 유래와 용도
▶일제의 고종 하야 음모와 군대 해산
*‘해산하다’와 ‘미역국 먹다’ 어원
▶안중근은 왜 위대한가
*혈맹 혹은 혈서의 유래
▶경술국치일 막전막후 이야기
*신소설의 선구자에 대하여
▶고종 해외 망명 시도와 독살
*‘기미보다’의 뜻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과 의친왕 망명 사건
*망명정부와 임시정부는 어떻게 다를까
▶조선 최고 요릿집 명월관 화재
*우리나라 최초의 요정
▶한국 최초의 여배우 복혜숙
*한국 최초의 미장원(미용실)
▶성격파 배우의 원조, 나운규
*인력거 유래와 초창기 풍경
▶윤심덕, 대중가요 <사의 찬미> 발표
*연애라는 말을 처음 쓴 사람
▶이봉창과 윤봉길 의거가 대단한 까닭
*비슷한 듯 다른 도시락과 벤토
▶창가와 애국가 유행
*안익태의 애국가 작곡 유래
▶아, 광복군 특공대
*광복군 창설 과정
▶해방인가, 광복인가
*악극의 유래
▶누가 임시정부의 귀국을 막았나
*기생파티와 모윤숙
▶여운형 암살 사건
*TK(대구-경북)의 원조 장택상
▶원맨쇼 개척자이자 국내 최초 개그맨, 윤부길
*대중가요 <처녀 뱃사공> 유래
▶서윤복, 보스턴 마라톤대회 우승
*또 다른 마라톤 영웅, 남승룡
▶미군정이 민족반역자 처벌을 반대한 까닭
*흐지부지와 유야무야 어원
▶제헌국회와 대통령중심제 탄생 비화
*‘뭉치면 살고 흩어지면 죽는다’ 유래
▶스탈린은 왜 김일성을 택했을까
*‘낙점(落點)’ 혹은 ‘점찍다’의 어원
▶아, 대한민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