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미리보기
외교관은 나의 인생 : 평생 외교관 박철민의 외교가 이야기
- 저자
- 박철민 저
- 출판사
- 서교출판사
- 출판일
- 2024-11-12
- 등록일
- 2024-12-24
- 파일포맷
- PDF
- 파일크기
- 22MB
- 공급사
- YES24
- 지원기기
-
PC
PHONE
TABLET
웹뷰어
프로그램 수동설치
뷰어프로그램 설치 안내
책소개
외교관은 무슨 일을 하고 어떤 사람을 만날까? 이 책에는 35년간 외교관으로 근무하며 겪은 저자 박철민의 일상과 생생한 외교 현장이 담겨 있다. 외교부 입부 후 군축 및 안보 분야에서 풍부한 경력을 쌓은 저자는 미국, 네덜란드, 브루나이, 러시아 등 해외 국가에서 근무하며 수많은 국제 관계를 마주해 왔다. 특히 최근에는 주포르투갈 대사, 청와대 안보실 외교정책비서관, 주헝가리 대사, 울산시 국제관계대사를 지내며 대한민국의 위상을 높이는데 기여했다. 힘들고 어려운 일들도 많았지만, 그런 가운데서도 끊임없이 난관을 헤쳐 나올 수 있었던 건 그가 가진 남다른 열정과 대한민국을 대표한다는 외교관으로서의 소명 덕분이었다.오늘날 대한민국은 세계 속에 우뚝 서 있다. 독자들은 저자가 걸어온 길을 따라 걸으며 외교관들이 어떤 삶을 살아 왔는지, 한국을 바라보는 국제 사회의 시선이 어떻게 바뀌어 왔는지 간접적으로나마 경험할수 있게 될 것이다. 현장에서 들려주는 듯한 생생한 묘사와 유쾌한 이야기들은 막연하게만 느껴졌던 외교관의 삶을 한층 가까이서 접할 수 있게 해 준다. 이 책은 외교관을 꿈꾸는 독자들에게는 좋은 길라잡이가, 한 사람의 이야기를 궁금해하는 독자들에게는 따뜻한 공감의 글이 되어 줄 것이다.
저자소개
1964년 부산에서 태어나 울산에서 성장했다. 경남고등학교 졸업 후 서울대학교에서 외교학을 전공했고, 1989년 제23회 외무고시에 합격해 외교관 생활을 시작했다. 1997년 미국 플로리다대학에서 국제관계학 석사학위를 취득한 뒤 주네덜란드 대사관 1등 서기관, 주브루나이 참사관, 주러시아 정무참사관, 주유엔대표부 공사 참사관을 역임했다. 이후 외교부 국제기구협력관과 유럽국장을 거쳐 청와대 안보실 외교정책비서관 등을 거치며 대한민국의 국제적 위상을 높이는 데 크게 기여했다. 2016년부터 2019년까지 주포르투갈 대사를, 2020년부터 2022년까지 주헝가리 대사를 역임했다. 특히 헝가리와의 양자외교 및 경제협력 관계 증진에 적극적 역할을 한 공로를 인정받아 헝가리 정부로부터 중십자공로훈장을 수훈했다. 2023년부터 2024년까지 울산시 국제관계대사로 재직했다. 현재 울산대학교에서 국제관계학을 가르치며 후학을 양성하고 있다.
목차
추천사프롤로그: 외교관으로 산다는 것? 제1장 외교부 청사 안팎에서왜 외국 사람들이 두려울까?? 좋은 선배가 되려면? 용기 있는 자만이 할 수 있는 것들? 유럽의 신사 외교관들? 숨 바쁘게 달려온 지구 9.2바퀴? 상춘재 마지막 승지라는 자부심? 참으로 많은 일이 일어난 2019년 청와대? 전화 외교의 굴곡과 한일 관계의 어려웠던 길목? 제2장 외교관의 삶외교관의 모든 것? 플로리다가 아닌 케냐를 선택했다면?? 국제 사회에는 영원한 적도 동지도 없다? 비엔나와 헤이그는 하늘과 땅? 뭐든 최초가 되고 싶은 ‘자유’와 ‘튤립’의 나라? 표적이 되면 누구도 자유로울 수 없다? OPCW 목장의 결투? 국제 무대에서 날고 뛰는 다자 전문가들? What a long and eventful dog-day! ? 뉴욕을 빛낸 우리 대통령님들? 외교관의 외향성과 인적 네트워크? 제3장 모스크바 이야기모스크바에 보드카는 있고 마네킹은 없더라!? 기후변화의 수혜자 러시아의 유기견? 처칠 수상이 두려워한 러시아인들의 겨울나기? 택시는 없고 레이서들은 있다? 베르나드스코바 대로의 질주? ‘백만 송이 장미’는 일상? 구세주 성당의 저주? 메드베데프와 푸틴, 발걸음이 닮았다? 광활한 기회의 땅 러시아? 핵무기의 아이러니와 러시아의 핵 문제 ? 러시아를 두렵게 하는 5개 과제? 자랑스러운 고려인들? ‘다드나’ 마법을 부르는 러시아 외교관? 대통령을 ‘동지’라고 통역한 러시아 외교관? 제4장 해외 공관장 시절대통령과의 약속? 2만 킬로미터 떨어진 5F의 나라? 999당에 사는 포르투갈 사람들? 부모님 포르투갈 체류기? 최초의 지구촌 건설자, 그들의 생존 묘수? 전·후임 대사들 간 인수인계는 이렇게? 대사들이 사는 집? 부다와 페스트를 아시나요?? 건축 양식을 알면 더 재미있는 세계문화유산 도시? 해외 언론과의 인터뷰는 이렇게? 헝가리 중십자공로훈장은 이렇게 생겼다? 성공적인 공관장이 되려면 필요한 것들? 제5장 새로운 도전과 열정꿀잼 문화도시 울산을 꿈꾸다? 의전은 기술인가, 예술인가?? 막걸리를 사랑하는 어느 외교관의 와인 이야기? 세 번째 안보리 진출 단순한 쾌거 이상이다? 디지털 전환 시대 포노 사피엔스? 미래 자동차 산업의 메카 헝가리? 지구 온난화의 미래를 고민하다? 예술 문화와 문화 예술의 차이점을 아시나요?? 미국 대선 이렇게 흘러갈 것이다? 중동 전쟁의 판도라 상자는 열릴 것인가?? 젊은이들이여, 인생을 즐기려면 이렇게 !? 에필로그: 한국의 달라진 위상을 실감하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