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천문학자 허블이 직접 들려주는 팽창하는 우주의 비밀을 만난다
안드로메다은하는 얼마나 멀리 떨어져 있을까? 우주는 과연 얼마나 클까? 18세기 미국 천문학자 에드윈 허블이 '허블 법칙'을 발견하기 전까지는 아무도 진상을 알지 못했다. 허블은 100인치 반사 망원경인 후커 망원경과 윌슨산천문대의 60인치 망원경으로 행한
관측 결과를 토대로 성운이 우리 은하와 유사한 독립된 외부 항성계임을 알아냈다. 허블은 처음으로 안드로메다은하까지의 거리를 정확하게 측정했다. 그가 측정한 거리는 그 당시 사람들이 알고 있던 우리 은하의 크기보다 훨씬 더 큰 값이었다. 허블의 두 번째 업적은 우주 곳곳에 흩어져 있는 안드로메다은하나 우리 은하 같은 은하들을 연구하기 위한 기틀을 만들었다는 것이다. 허블은 은하의 분류를 처음으로 시도했다.
허블 법칙은 우리가 알고 있는 우주의 가장 근본적인, 그리고 가장 확실한 관측적 사실이다. 어느 우주론이든 이 법칙을 설명하지 못하는 이론은 재고할 가치도 없다. 결론은 간단하다. 우주는 엄청나게 크며, 더 커지고 있다. 우리가 알고 있는 이 사실을 확립한 사람이 바로 허블이다. 그 증거를 허블이 우리 앞에서 직접 설명한다면 어떤 느낌일까? 이 책은 1936년 허블 자신이 그의 주요 관측 결과를 설명한 책이다. 허블이 발견한 것은 단순히 위대한 발견 중 하나가 아니다. 인간이 알고 있던 우주의 크기를 혁명적으로 넓힌 것이다.
목차
실리만 재단 강연에 대해
서문
서론
과학 연구/ 천문학 용어/ 거리 단위/ 겉보기 등급/ 절대 등급/ 세페이드 변광성의 주기?광도 관계/ 성운과 외부 은하/ 개별적 성운의 명칭
1장 우주 탐험
멀어지는 지평선/ 섬우주 이론/ 성운의 성질 (a) 문제의 설정, (b) 문제의 해답/ 우주의 거주민/ 성운의 영역, (a) 성운의 분포, (b) 속도?거리 관계/ 우주의 표본으로 관측 가능한 지역
2장 성운의 가족적 특성
성운의 분류/ 공통된 모양/ 타원 성운/ 나선 성운/ 정상 나선 성운/ 막대 나선 성운/ 나선 성운의 순서/ 정상 성운의 순서/ 추가적 특성/ 불규칙 성운/ 표준 성운/ 순서를 따라 체계적으로 변하는 특징 (a) 분광형, (b) 색, (c) 분해, (d) 성운형의 상대적 빈도/ 요약
3장 성운의 분포
성운 조사/ 천구에 나타나는 분포/ 은하의 엄폐/ 성간 구름의 엄폐/ 흡수층/ 일반 시야/ 천구에 나타나는 거대 분포/ 거리에 따른 거대 분포/ 작은 규모 분포/ 성운군/ 성운단
4장 성운의 거리
거리 기준의 개발/ 나선 성운에서 발견된 신성/ 성운의 분해/ 세페이드 변광성/ 유사한 은하로서 성운들/ 성운 거리의 추가적 기준
5장 속도?거리 관계
성운의 초기 분광 사진/ 최초 시선속도/ 슬라이퍼의 적색편이 목록/ 관측 자료의 해석/ 성운에 대한 태양 운동/ 거리와 K항의 관계식/ 속도?거리 관계/ 휴메이슨의 시선속도 목록/ 성운단/ 고립된 성운/ 속도?거리 관계의 중요성
6장 국부 성운군
국부 성운군의 구성원/ 우리 은하계/ 마젤란성운들/ 메시에 31/ 메시에 32/ NGC 205/ 메시에 33/ NGC 6822/ IC 1613/ 국부 성운군의 가능한 구성원/ 요약
7장 일반 시야
거리 기준/ 가장 밝은 별들/ 가장 밝은 별 기준에서의 오차/ 가장 밝은 별 기준의 적용 (a) 낱별이 보이는 성운의 광도 함수, (b) 처녀자리 성운단의 거리, (c) 속도?거리 관계/ 속도?거리 관계의 눈금 조정/ 성운단에 속한 성운의 광도/ 거리의 통계적 기준에 대한 선택 효과/ 낱성운의 광도/ 성운의 크기/ 성운의 질량
8장 성운의 영역
연속적인 한계로의 조사/ 거리에 따른 성운의 분포/ 분포의 정량적 설명/ 성운 간 공간/ 관측 가능한 지역/ 겉보기 광도에 대한 적색편이 효과/ 수 효과/ 에너지 효과/ 적색편이와 관측된 균일성으로부터 벗어남/ 여러 우주론들
해설
지은이에 대해
옮긴이에 대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