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모두가 늙었지만 아무도 죽지 않는다 : 초고령화 시대, 웰다잉을 위한 죽음 수업
- 저자
- 오쿠 신야 저/이소담 역
- 출판사
- 알에이치코리아(RHK)
- 출판일
- 2023-03-09
- 등록일
- 2023-06-08
- 파일포맷
- EPUB
- 파일크기
- 88MB
- 공급사
- YES24
- 지원기기
-
PC
PHONE
TABLET
웹뷰어
프로그램 수동설치
뷰어프로그램 설치 안내
책소개
평균 수명 120살, 초장수 시대를 바라보는 일본 의학자의 스무 가지 시선‘만약 당신이 앞으로 백 년이라는 시간을 더 살 수 있다면…….’삶에는 없지만 죽음에는 있는 무언가를 찾아가는 웰다잉 강의의학의 눈부신 발전으로 도래한 초고령화 사회, 인간에게 주어진 기나긴 시간은 과연 축복일까 저주일까? 일본의 의학자인 저자는 『모두가 늙었지만 아무도 죽지 않는다』에서 ‘미래의료학’의 관점으로 현대 사회의 고령화 문제를 진단한다. 완성형에 가까워진 의학의 힘을 빌려 인간이 평균 120세까지 살 수 있는, 죽음이 사어(死語)가 될 날들이 코앞으로 다가왔다. 대부분의 이들이 유병장수라는 라이프 스타일을 살아가게 될 시대를 앞두고, 삶과 죽음의 양상을 스스로 선택하고 싶은 이들이 곰곰이 생각해볼 만한 유의미한 질문들을 담았다.초장수 시대의 죽음은 더 이상 예측 불가능한 존재가 아니다. 이제 우리는 노년 생활의 양이 아닌 질을 고민해야 하며, 마침내 인생의 마지막 장면이 다가올 때까지 ‘병들었지만 죽음에 이르진 않는’ 시간들을 각자의 방식대로 충실히 꾸려나가야 한다. 저자는 연장된 노후로 인한 경제적 문제를 비롯해 뇌사, 고독사, 안락사 등 스무 가지 현실적인 키워드를 던지며 격변하는 생과 사의 관계를 고찰한다. 동시에 모든 개개인의 죽음 또한 소중한 삶의 한 단락으로 마무리될 수 있도록 ‘죽음을 디자인하라’는 묵직한 메시지와 함께 웰다잉을 실현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안한다.
저자소개
1962년 오사카부에서 태어나, 도쿄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영국 레스터대학교 경영대학원을 수료했다. 미래학, 핵의학, 의료정보학을 전공했다. 도쿄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병원 방사선과에서 일하다가 프랑스 국립보건의학연구소로 유학을 떠났다. 도쿄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병원 22세기의료센터 건강진단정보학과 준교수, 사이타마 의과대학교 종합의료센터 방사선과 준교수, 아이즈대학교 교수 등을 지냈다. 그 후에 제약 회사, 의료 기기 제조 회사 등에서 근무했으며 현재는 의료계에서 미래학자로 일하고 있다.
저서로 『Die 혁명-의료 완성 시대의 생활상』, 『미래 의료 연표-10년 후의 병과 건강』, 『미래의 의료 현장에서 일하는 그대에게』 등이 있으며 『10대에 의료계가 궁금한 나, 어떻게 할까?』가 국내 출간되었다.
트위터: @medfuturologist
목차
머리말_초고령화 시대, 죽음은 삶의 일부가 된다1장. 아파도 죽지 않는다: 인생 120년이 현실이 된 시대뒤바뀐 삶과 죽음의 양상인류가 전염병으로부터 해방될 날끝까지 맞서 싸워야 할 질병들2035년, 암도 극복할 수 있다인공 장기는 더 이상 SF 소설이 아니다현대인은 점점 더 건강해지고 있다미래의 병까지 치료하는 예방의학AI는 결코 오진하지 않는다120년까지 연장된 인간의 수명미래 스토리: 100살까지 사는 인생, 2050년에는 일상2장. 돈이 수명의 질을 결정한다: 장수와 경제력의 관계다병장수 시대, 급증하는 의료비노화 없는 세계도 돈은 필요하다경제력이 장수의 질을 결정한다장애는 더 이상 핸디캡이 아니다죽음이 ‘행복한 한 단락’이 되기까지미래 스토리: 돈의 유무로 바뀌는 환자의 삶3장. 흔들리는 삶과 죽음의 가치관: 각자의 ‘마지막 얼굴’을 향해서이제 시나리오대로 살 수 있다‘전형적인 죽음’도 달라진다초장수 시대, 의료계의 한계안락사 그리고 존엄사의사는 의사로서 살아간다자기 결정권을 존중하기 위해서새로운 죽음 앞에서 뒤처진 현실‘사생관’을 가진 자는 누구인가나만의 끝, 수긍할 수 있는 마지막 순간미래 스토리: 대체 나의 ‘죽을 때’는 언제 올까?4장. 인생의 진정한 주인은 누구인가: 죽음을 둘러싼 거의 모든 문제들삶에는 없지만 죽음에는 있는 것법은 죽음을 정의하지 않는다인공호흡기를 떼는 순간이 오면의사의 책임은 어디까지인가치료의 여정을 스스로 선택하라죽지 않는 시대의 적극적 죽음안락사를 법제화한 나라들안락사는 ‘빵 한 조각’일까 ‘죽음의 여행’일까장기 기증, 사체는 누구의 것일까“민폐 끼치기 싫다”는 말은 그만미래 스토리: 안락사는 더 이상 불법이 아니다5장. 당신의 죽음을 디자인할 스무 가지 질문질문 1. 강하고 오래가는 ‘슈퍼 육체’를 살 수 있다면질문 2. 영원한 삶을 주겠다고 악마가 거래를 한다면질문 3. 가족이 의사를 불러주지 않는다면질문 4. 평생 독신이라면 혼자 죽게 될까?질문 5. 인생 파트너와 노후 계획이 다르다면질문 6. 당신이 내리는 죽음의 정의란질문 7. 장기 기증을 둘러싼 부부의 대화질문 8. 자녀에게 거액의 치료비가 필요하다면질문 9. 죽기 직전까지 최첨단 기술을 누릴 수 있다면질문 10. 어떤 의료 보험을 선택해야 할까?질문 11. 아이가 뇌사 상태에 빠졌다면질문 12. 자식이 정년 45세 기업에 취직한다면질문 13. 나의 죽음에 의사의 역할은 무엇일까?질문 14. 통증이 사라지지만 죽음을 앞당기는 약이 있다면질문 15. 치료 방법을 두고 의사 소통이 불가능하다면질문 16. 우리 곁에 남은 사람이 모두 사라진다면질문 17. 연인이 안락사 기계를 갖고 있다면질문 18. 안락사 서비스를 주문할 수 있다면질문 19. 의미 있는 인생에게 생명을 나눠줄 수 있다면질문 20. 당신은 몇 살까지 살고 싶은가?맺음말_자신의 죽음을 디자인하라결론을 대신하여_친구 고시모를 생각하며참고문헌